무형자산의 측정과 재평가
더보기 차례. 1.무형자산의 측정 방법 - 원가 모형 - 재평가 모형 - 상각후원가 모형 2.무형자산의 재평가 - 일반기업회계기준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3.결론 1.무형자산의 측정 방법 무형자산의 측정방법은 원가 모형, 재평가 모형, 상각후원가 모형으로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 원가 모형 : 무형자산을 최초 인식할 때 취득원가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특허등을 취득하는데 들어간 비용 및 관련된 수수료, 제세공과 등의 부대 비용을 가산하여 원가를 측정한 후 인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회사가 2023년 1월 1일에 소프트웨어를 1,000,000원에 구입했고, 2023년 12월 31일 소프트웨어의 공정 가치가 1,200,000원으로 상승한다고 하면 장부 금액은 1,000,000원으..
무형자산의 인식 조건
무형자산이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며 이런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무형자산을 인식하는 조건이 없다면, 기업이 임의로 무형자산을 부풀리거나 축소하여 회계처리를 할 수 있고, 이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왜곡할 수 있습니다. 또, 투자자들이나 채권자들이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신뢰할 수 없게 되어, 기업의 자금조달이나 투자유치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형자산 인식 조건은 기업의 회계투명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이나 채권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무형자산의 인식 조건은 식별가능성, 자원에 대한 통제, 미래 경제적 효익, 측정 가능성, 상각가능성 다섯..
무형자산 종류
무형자산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지만 물리적 형태가 없는 비화폐성 자산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산으로, 종류에는 저작권, 특허권, 상표권, 영업권, 개발비, 프랜차이즈 등이 있습니다. 아래에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형자산의 종류 1) 저작권 : 저작권(著作權, copyright 카피라이트[*])은 소프트웨어, 음악, 문학작품 등 창작물을 만든이(저작자)가 자기 저작물에 대해 가지는 배타적인 법적 권리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인정되는 권리이며, 저작권은 만든이의 권리를 보호하여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저작권자는 법에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사람이 복제, 공연, 전시, 방송, 전송하는 등의 이용을 허가하거나 엄금할 수 있습니..